목차
온주법에는 3가지의 삼해주 제조법이 나온다. 이 또한 이전 삼해주의 방법과 다르다.
정월 첫 해일
1. 백미 5말 백세작말하여 익게 찐다.
2. 탕수 5말에 잘 개어 밤 재워 차게 한다.
3. 누룩가루 3되 5홉, 밀가루 1되 5홉과 잘 섞어 좋은 독에 담는다.
둘째 해일
1. 첫 해일에 한 것처럼 한다.
셋째 해일
1. 백미 5말을 봐 가며 탕수 5말과 잘 섞어 밤 재운다.
2. 누룩가루를 아주 곱게 세말하여 전대로 넣으라.
누룩가루와 밀가루는 세번 다 같게 하라.(첫 해일에 넣은 양을 그대로 한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해일 | 50 | 50 | 3.5 | 1.5 | 백설기 |
둘째해일 | 50 | 50 | 3.5 | 1.5 | 백설기 |
셋째해일 | 50 | 50 | 3.5(곱게 갈아서) | 1.5 | 고물 |
계 | 150 | 150 | 10.5 | 4.5 | - |
정월 첫 해일
1. 점미 2말 백세하여 물에 담가 불거든 다시 씻어 작말한다.
2. 죽 쑤어 차게 식힌다.
3. 누룩가루 4되 밀가루 4되 섞어 넣는다.
둘째 해일
1. 점미 9말 백세하여 물에 담갔다가 작말한다.
2. 죽 쑤어 차게 식힌다.
3. 누룩가루 넣지 말고 밑술에 덧하여 넣으라.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 해일 | 찹쌀 20 | 20 | 4 | 4 | 죽 |
둘째 해일 | 찹쌀 90 | 90 | - | - | 죽 |
셋째 해일 | 생략 | ||||
계 | 찹쌀 110 | 110 | 4 | 4 | - |
국말 넣지 말고 봉하여 두었다가 삼사월에 쓰라.(셋째 해일에 빚는 방법이 생략되어 있다)
셋째 해일에는 내용이 없는 것을 보아 찹쌀로 만드는 삼해주라 셋째 해일까지는 덧술하지 않아도 맛이 형성되기 때문에 굳이 셋째 해일까지 안 만들지 않았을까 싶다. 물 양이 정확히 나와 있지 않아 죽 형태로 최소 1:1 비율로 계산했다. 죽이기 때문에 1:3 이상으로도 물이 들어갈 것 같기는 한데 언제까지나 추측일 뿐이다. 상태를 봐가면서 물을 더 넣어줘도 될 것 같다. 고문헌에는 제조 방법이 제대로 안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어느 정도는 추측해서 레시피를 완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해일이 없고 둘째 해일 이후 봉하여 3~4월에 쓰라는 것 보면 추운 겨울날 오래 발효하여 적은 누룩으로도 길게 발효하기 때문인 것 같다. 다른 삼해주와 다르게 2양주로 작업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쌀 양에 비해서 누룩양이 적게 들어가는 것도 특징이다.
정월 첫 해일
1. 점미 2말 50번 씻어 작말한다.
2. 물 4말 끓어 죽 쑤어 차게 한다.
3. 누룩가로 5되 섞어 넣는다.
둘째 해일
1. 점미 9말 죽 쑤어 위 방법대로 덧하되, 누룩가루 2말 더 넣는다.
셋째 해일
1. 점미 10말 50번 씻어 익게 찐다.
2. 전술에 고르게 섞어 넣어 익거든 쓰라.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 해일 | 찹쌀 20 | 40 | 5 | - | 죽 |
둘째 해일 | 찹쌀 90 | 180 | 20 | - | 죽 |
셋째 해일 | 찹쌀 100 | - | - | - | 고두밥 |
계 | 찹쌀 210 | 220 | 25 | - | - |
1715년 <산림경제>의 삼해주
정월 첫 해일
1. 점미 1말을 백세작말하여 멀건 죽을 쒀 식힌다.
2. 누룩가루, 밀가루 각 1되를 섞어 독에 담는다.
둘째 해일
1. 점미, 백미 각 1말을 백세작말하여 찐다.
2. 식으면 전에 빚은 술과 섞어 독에 담는다.
셋째 해일
1. 백미 5말 백세하여 찐다
2. 식으면 끓는 물 3동이를 섞어 식힌다.
3. 전술과 섞어 독에 담는다.
3월에 이용한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 해일 | 찹쌀 10 | 40~50 | 1 | 1 | 죽 |
둘째 해일 | 찹쌀 10, 멥쌀 10 | - | - | - | 설기떡 |
셋째 해일 | 멥쌀 50 | 30 | - | - | 고물 |
계 | 80 | 70~80 | 1 | 1 | - |
위 방법은 1752년 <민천집설>, 1766년 <감저종식법>, 1771년 <고사신서>, 1787년 <고사십이집>, 1799년 <해동농서>, 1827년 <임원십육지>, 1830년 <농정회요>의 삼해주 제조법과 방법이 같다. 많은 고문헌에 동일하게 제조법이 기록된 것을 보면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된 제조법일 것으로 추측된다.
1700년대 초 <음식보>의 삼해주
정월 첫 해일
1. 백미 1말 백세작말한다.
2. 물 5되에 익게 개어 식힌다.
3. 가루누룩 1되, 밀가루 적당히 섞어 넣는다.
둘째 해일
1. 백미 2말 백세작말한다.
2. 물 3말에 익게 개어 식힌다.
3. 밑술과 섞어 담는다.
셋째 해일
1. 백미 10말 백세하여 익게 찐다.
2. 끓는 물 7말 5되와 섞어 식힌다.
3. 밑술과 섞는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 해일 | 10 | 5 | 1 | - | 범벅 |
둘째 해일 | 20 | 30 | - | - | 범벅 |
셋째 해일 | 100 | 75 | - | - | 고물 |
계 | 130 | 110 | 1 | - | - |
<음식보>의 삼해주 또한 다른 문헌 속에 등장하는 삼해주 제조법과 차이가 있다.
1766년 <증보산림경제>의 삼해주
<증보산림경제>에는 2가지의 삼해주 제조법이 나오는데, 하나는 <산림경제>의 삼해주와 제조법이 일치하고 다른 하나는 지금까지의 삼해주 제조법과는 또 다르다.
정월 첫 해일
1. 백미 1말을 백세작말하여 찐다.
10말을 빚으려고 하는 자는 쌀 1말당 누룩 5홉을 섞는다.
2. 누룩 5되를 섞은 다음 물 3병을 혼합해서 독에 담는다.
3. 온도가 적당한 곳에 놓아둔다.
둘째 해일
1. 백미 7말을 백세작말하여 푹 찐다.
2. 쌀 1말당 물 3병의 비율로 하여 물 21병을 타서 한데 섞어 독에 담는다.
셋째 해일
1. 점미 2말을 백세하여 찐다.
2. 물을 타지 말고 앞술과 혼합해 독에 담는다.
익어 밥알이 뜨면 거른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첫째 해일 | 10 | 3병(15) | 5 | - | 백설기 |
둘째 해일 | 70 | 21병(105) | - | - | 설기떡 |
셋째 해일 | 찹쌀 20 | - | - | - | 고두밥 |
계 | 멥쌀 80 찹쌀 20 | 120 | 5 | - | - |
이 술은 잘 괴는 성질이 있으므로 반드시 여러 독에 나누어 담갔다가 괸 뒤에 합쳐 한 독에 담는 것이 좋다. 이 술을 증류하여 노주를 만들면 맛이 좋다.
<증보산림경제>의 삼해주 제조법 중 독특한 점은 셋째 해일에 점미 2말을 넣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삼해주가 뒤로 갈수록 쌀의 양이 많아지는데 반해 여기서의 삼해주는 쌀의 양이 줄어들고 점미를 사용한 것이 독특하다.
연잎술 늑파주 세심주 소백주 백단주 벽향주 솔잎술 과하주 황금주 (17) | 2024.05.17 |
---|---|
해일주 청명주 청명향 백화주 백하주 당백화주 절주 벼락술 (26) | 2024.05.15 |
[고문헌 속 전통주] 고문헌 속 삼해주 담는 법-2 (22) | 2024.05.13 |
고문헌에 나오는 삼해주 제조법-1 (23) | 2024.05.12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8강] 백수환동주 빚기 / 술의 여과 기술 및 실습 (12) | 202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