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추 200g, 생강 50g, 갈근 50g, 통계피 50g, 헛개나무 50g, 꿀 100g, 배 1개(크면 반개), 감초 30g, 지게미 1kg(막걸리 500ml), 끓는 물 5리터
그리고 각 재료를 계량 할 저울과 절구, 칼, 약재를 데칠 냄비와 체 등이 필요합니다.
준비된 재료를 모주에 넣을 수 있게 법제를 하고, 재료손질을 해야합니다. 생강은 껍질을 벗겨 절구에 빻아서 잘게 으깨줍니다.
배는 잘게 썰어주고, 다른 약재는 끓는 물에 30초 정도 데쳐주어 법제를 합니다.
![]() |
![]() |
대추는 안에 있는 씨를 제거 합니다. 으깬 생강도 티백 망에 넣어줍니다.
법제된 약재(갈근, 통계피, 헛개나무, 감초)는 건져내어 티백 망에 넣어서 묶어줍니다. 그리고 끓는 물 5리터를 준비하고 준비된 재료를 모두 넣어 30분간 끓여 줍니다.
![]() |
![]() |
![]() |
![]() |
끓여 준 물에 지게미 1kg를 넣거나 막걸리 500ml를 넣는다. 우리는 졸업생이 만든 술 중에서 일부를 넣었다. 그 다음에 더 끓여주는데 끓여주면서 알코올은 날라가서 나중에는 알코올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한다. 술이라기 보다는 술로 만다는 보양음료 같은 느낌이다.
다시 끓인 후 어느 정도 알코올이 날라가면 불을 끄고 넣은 약재망을 걷어내고 믹서기에 갈아서 마시면 된다. 배나 대추가 들어 있어서 약간의 건더기가 발생한다. 같이 맛있게 마시면 되고 마치 추운 겨울날 감기에 걸렸을 때 마시면 딱 좋은 맛과 향이다. 뱅쇼같다라고 하시는 분들도 많았는데 방법 등이나 술로 만드는 따듯한 차 느낌이랑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날라가는 알코올이 아깝기는 하지만 지게미에도 영양이 풍부하니 약재와 함께 먹여 기운을 돋굴 수 있는 선조들의 지혜인 셈이다.
![]() |
![]() |
나는 맛있어서 한 잔을 더 마셨다. 실제로 약간 추운 날씨였는데 먹고 나니 몸에서 열이 나는 듯 했다. 보온병에 담아서 등산갈 때나 야외활동할 때, 시험볼 때 등등 마시면 좋을 것 같다.
![]() |
![]() |
지난 수업 때 시간이 없어 하나밖에 측정하지 못해서 수업 틈틈이 알코올도수를 측정했다. 적은 인원인데도 역할을 나눠서 조금씩 해야했기 때문에 정신이 없고 사진만 급하게 찍어두었다. 이번에 측정한 도수는 16.7로 저번 술(16.1)과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 |
![]() |
지난 수업에 만든 반생반숙 밑술에 고두밥을 지어 넣으면 된다. 멥쌀 고두밥(4kg)은 잘 식혀서 밑술과 잘 혼합해주기만 하면 된다. 밑술은 당화가 꽤 진행되어 알코올이 많이 생성된 느낌이다. 사진은 없지만 고두밥을 식혀 밑술과 잘 혼합하여 다시 발효조에 넣어주었다.
![]() |
![]() |
![]() |
![]() |
잊고 있었던 과하주를 꺼내서 확인해보았는데 우리조만 색이 하얗고 윗막지가 떠있었다. 다른 조들은 노랗게 청주가 올라와 있었는데 우리조만 하얗게 윗막지가 떠올라서 뭔가 잘못했나 싶다. 맛도 약간 다른 것 같아서 약간 실패요인이 있었던 것 같다. 아래부분까지 다시 잘 혼합해준 다음 닫아서 보관해두었다. 과하주도 졸업한 후에 다시 모여서 거르기로 했다.
다음 시간에 백수환동주를 만들기 위해서 집에서 열심히 띄운 백수환동곡을 가지고 와서 검사를 했습니다. 가져오기 전에 법제를 하고 잘 말려야 하는데 덜 말렸는지 안에는 약간 습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돌절구로 깰 때 '딱'소리가 나면서 호두깨지는 소리가 나야 좋은 것이고 안까지 바짝 말라있어야 쓸 수 있습니다. 쪼개서 냄새를 맡아보았을 때 멸치육수 냄새가 나지 않거나 약하게 나야 좋은 누룩이고, 냄새가 심하거나 안좋은 냄새가 난다면 걸러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누룩을 띄울 때 중요한 것이 수분유지 1,2단계도 중요하지만 마지막 3단계에서 누룩을 잘 말리고 건조시키는 과정도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제가 만든 누룩은 안에서 조금 멸치육수 냄새가 났던 것 같아요. 내부도 하얗게 되면 더 좋은데 약간 누렇게 되어 있어서 좋은 평가는 받지 못했습니다.
![]() |
![]() |
수강생분이 개인적으로 만들어오신 점감주입니다. 점감주가 맞는지 확실하진 않습니다(기억이 가물가물)
이화주처럼 떠먹는 술인데 이화주보다는 묽은 술입니다. 물이 없어서 엄청 달고 당도 조절을 해서 먹을 수 있습니다.
단양주로 아래 레시피로 만들면 됩니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밑술 | 찹쌀2 | 0.3~0.4 | 고두밥 |
![]() |
![]() |
찹쌀 500g을 그릇에 담고 물을 채워 1리터를 만든다. 그리고 쌀이 불거든 체에 걸러 쌀뜬물을 받아주고, 받은 쌀뜬물을 끓여줍니다. 끓인 쌀뜬물을 찹쌀에 다시 부어주어 찹쌀을 익힌다. (바로 내일 쓰려면 더 끓여줍니다) 그럼 밥처럼 되고 식으면 누룩 100g을 넣어 효모 활성화 시켜 씨앗술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씨앗술은 3일 전, 서김은 바로 전날 사용 가능합니다. 집에서는 물과 쌀 반반으로 끓여서 밥 식으면 누룩 넣으면 됩니다.
100g정도라도 초반 발효에 도움이 됩니다.
생화는 직접 술에 담그지 않고 발효조 뚜껑에 매달아 향에 베이게끔 한다. 생화에는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직접 담그지 않는다. 담그려면 꽃을 말린 후에 넣는 것이 좋다. 특히 유자는 껍질을 주머니에 넣어 달고 술독을 단단히 닫은 상태로 술이 익으면 향기가 가득하다.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복사꽃 | 가공방법 |
밑술(음력1월) | 25 | 25 | 1 | 1 | 반생반숙 | |
덧술(음력 3월) | 멥쌀30 찹쌀30 |
60 | 2 | 고두밥 | ||
계 | 85 | 85 | 1 | 1 | 2 |
멥쌀이 잘 익지 않으므로 찔 때 아랫부분에 두고 20-30분 찐다. 복사꽃을 독 밑에 두고 밑술을 덮어 넣는다.
죽의 개념
죽은 범벅(쌀과 물 비율=1:3)과 반생반숙(1:1)을 포함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밑술 | 찹쌀10 | 3병(15리터) | 1 | 고두밥/수곡 |
단양주의 대표적인 술
-쌀과 물양에 따른 발효일수
쌀 | 물 | 누룩 | 발효일수 | 비고 |
10 | 5 | 1 | 7-10일 | |
10 | 10 | 1 | 5일 | |
10 | 15 | 1 | 1-3일 | 스파클링, 부의주 |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밑술(1.1) | 5병(25리터) | 5 | 수곡 | ||
밑술2 | 50 | 15병(75리터) | 백설기 | ||
덧술(2.28) | 50(멥/찹 모두 가능) | 고두밥 | |||
계 | 100 | 100 | 5 |
고급청주를 만드는 방법
구분 | 쌀 | 물 | 누룩 | 밀가루 | 가공방법 |
밑술 | 2 | 10 | 1 | 죽 | |
덧술 | 찹쌀10(드라이한 맛 추구하면 8로 수정) | 고두밥 | |||
계 | 12 | 10 | 1 |
2023.09.30 - [술술 기록] - [한국가양주연구소 명주반 6강] 가향주, 가향재의 처리 및 가공, 가향재의 투입시기와 투입량 / 약주 덧술 빚기
[한국가양주연구소 명주반 6강] 가향주, 가향재의 처리 및 가공, 가향재의 투입시기와 투입량 /
2023.09.10 - [술술 기록] - [한국가양주연구소 명주반 1강]: 삼양주 밑술 만들기(전통주 만들기) 2023.11.18 - [술술 기록]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2강] 백수환동곡 만들기 / 음식디미방 고문헌 속 해
momorich.tistory.com
2023.09.18 - [술술 기록] - [한국가양주연구소 명주반 3강] 곰팡이, 효모, 젖산균의 이해, 미생물 생육곡선과 덧술시기의 판단, 삼양주 덧술 빚기
[한국가양주연구소 명주반 3강] 곰팡이, 효모, 젖산균의 이해, 미생물 생육곡선과 덧술시기의 판
3강에서는 삼양주의 마지막 단계인 고두밥을 쪄서 넣습니다. 일단은 물에 불린 쌀 4kg를 탈수를 해준 상태에서 찜기에 면포를 깔고 쌀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고두밥을 찔 동안 저희는 저희가 담
momorich.tistory.com
고문헌에 나오는 삼해주 제조법-1 (23) | 2024.05.12 |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8강] 백수환동주 빚기 / 술의 여과 기술 및 실습 (12) | 2024.05.11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6강] 반생반숙 밑술 / 고문헌 속 약주의 제조 응용 (12) | 2024.05.09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5강] 순향주 덧술(멥쌀고두밥) / 고문헌 속 누룩, 누룩의 응용 및 미생물 발효 (19) | 2024.05.08 |
[한국가양주연구소 주인반 4강] 순향주 밑술(백설기) / 이화주 덧술 및 레시피 / 고문헌 속 이화주 / 설화곡 확인 (14) | 2024.05.07 |